본문 바로가기

OBS

<믹서 밸런스> 마이크, 게임, BGM, 효과음 볼륨 크기 기준과 설정법

반응형

1. 개요

처음 방송, 녹화, 녹음을 하는 분들이라면 어떠한 기준으로 소리를 조정할지 궁금한 점이 있을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실무를 하면서 직접 해보면서 공감 가는 자료들이 있어 정리해 보겠습니다.

<OBS 홈페이지에 믹서 구간 사진 예>

위 사진은 OBS 홈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안내해주는 구간별 소리의 좋은 예제입니다. 영상편집, 방송 등을 수행할 때도 본능적으로 저 3가지 구간으로 나누어 작업 결과물이 나옵니다.

OBS 설명 요약
<최신 버전의 볼륨미터 색상>

빨간색 영역 : 이 영역으로 볼륨이 올라간다면 대다수 듣기 거북한 소리일 확률이 높아 빨간색 영역으로 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노란색 영역 : 사람의 목소리는 항상 노란색 구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크게 웃거나 소리 지를 때에는 빨간색 영역으로 가는 것을 추천
녹색 영역 : 음악, 게임, 효과음, 경고음 등 보이스를 제외한 모든 소리는 초록색 영역에서 움직여하 합니다.

3줄 요약
빨간색 : 넘어가면 불쾌하다
노란색 : 사람 목소리
녹색 : 사람 목소리를 제외한 모든 소리

2. 자세히

좀 더 자세한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구간의 세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방송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오디오 요소들의 -db 설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람 목소리: -20db ~ -6db 사이
    • 작은 소리 -20db ~ -15db
    • 보통 목소리 -15db ~ -9db
    • 샤우팅 -9db ~ -6db
      • 보통 -9db 정도를 추천합니다. 다만, 소리 크기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게임 사운드: -25db ~ -20db 사이
    • 게임 사운드는 목소리보다 낮은 볼륨으로 설정합니다. 게임 사운드가 너무 크면 목소리가 들리지 않아 원활한 방송이 안 될 수 있습니다.
  3. 백그라운드 음악: -30db ~ -25db 사이
    • 역시 목소리와 게임 사운드와 마찬가지로 백그라운드 음악은 게임 사운드보다 좀 더 낮은 구간에서 출력되면 좋습니다.
  4. 효과음: -20db에서 -15db 사이
    • 효과음은 게임 사운드와 비슷한 볼륨으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게임 사운드와 효과음의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듣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편합니다.
"각각의 설정값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무를 통해 느낀점은 "더 중요한 소리는 다른 소리보다 더 커야 한다"라는 규칙을 알아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위 값이 법칙이 아닌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요약
사람 목소리 > 효과음 > 게임 사운드 > 백그라운드 음악

사람목소리 구문
샤우팅 > 보통 목소리 > 작은 목소리
"강약을 구분하여 상황묘사 및 목소리에 개성을 주기 위함"

3. 설정 방법(플러그인 다운로드)

위 설명한 각 구간에 각각의 소리가 범위 안에서 안정적으로 출력되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람 목소리 효과 설정하기

<OBS 마이크 인풋 > 설정 > 효과 클릭>

컴프레서의 설정값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오디오 믹싱 및 마스터링 작업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도구와 효과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보통 -20dB ~ -6dB 사이의 사람 목소리를 세팅할 때 컴프레서의 설정값은 다음과 같이 추천됩니다.

  1. Threshold: -16dB ~ -12dB 범위 내에 설정합니다.
    • 'Threshold'란 쉽게 말해 컴프레셔가 작동하는 수치입니다. Threshold를 설정한 값에서 소리의 압축을 시작하여 마이크에 더 큰 진동에너지(목소리)를 입력해야 됩니다.
  2. Ratio: 3:1 ~ 4:1 범위 내에 설정합니다.
    • 'Ratio' 설정한 Threshold 값을 넘어간 이후 소리를 얼마나 압축하여 샤우팅 하여도 내가 원하는 -db 구간까지 도달하게 하는 비율입니다. 값이 클수록 더 소리를 압축합니다.
  3. Attack Time: 6ms 적당합니다.
    • Threshold를 넘어선 후 컴프를 동작하게 하는 여유(지연) 시간이다. 바로 컴프를 작동시키지 않는 이유는
      • Envelopment of Sound : 소리의 특정 틀, ADSR로 이루어저있으며 각 소리의 특성이라고 하며 'Attack' 부분을 듣고 어떠한 소리인지 구분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목소리의 'Attack' 부분은 6ms로 설정하여 소리의 개성을 살릴 수 있게 컴프레셔 발동 시간을 지연합니다.
  4. Release Time: 100ms ~ 150ms 범위 내에 설정합니다.
    • 컴프레서가 작동을 멈추고 원래 소리로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컴프레셔가 효과가 너무 빨리 꺼진다면 Sustain 부분에서 압축되었던 소리가 '울컥'(작았다가 커지는) 거리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 컴프레셔의 효과가 꺼지는 시간에 지연을 줍니다.
  5. Make Up: + 0dB ~ 3dB 앞축되어 전체적으로 작아진 소리에 보상을 줍니다. 
    • 평범한 목소리의 마이크 입력이 -20dB ~ -9dB에서 입력된다면 'Make Up'으로 소리에 보상이 필요 없습니다. 다만 압축되어 -9dB까지 힘들다면 적절히 Make Up을 주시면 됩니다.

<Envelopment of Sound>

컴프의 설정값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실제로 사용하는 컴프레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프레서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값을 참조하면서 적절한 설정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설정 방법

마지막으로 목소리에 대한 컴프레셔 세팅 방법을 말씀드렸고 다른 음향 소스들 또한 원하는 레인지에서 입력하게 만들고 싶다면 컴프를 이용하여 세팅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위의 이론적인 세팅 값이 정답은 아닙니다. 장비, 환경과 같은 변수에 따라 세팅 값은 항상 달라지는 점을 참고해주시고 글을 읽고 반박시, 반박한 세팅 값이 올바를 수 있다는 점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반응형

'OB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 트위치 투명 채팅창  (0) 2022.06.03
유튜브 하나의 채널에 멀티 스트리밍  (1) 2022.05.31
OBS 녹화 방법(단순)  (0) 2022.05.23
OBS NDI 사용법  (0) 202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