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포맷에는 VST, VST3, AU, AAX 등 포맷이 있습니다. VST를 사용전 VST3 포멧을 지원하는지 확인하세요!
"처음 VMIX를 사용할 때 모든 플러그인 포맷을 지원하는 줄 알았다 고생 좀 했습니다."
2. 플러그인 찾기
플러그인을 찾을 때는 플러그인의 키워드를 유튜브, 구글에 검색합니다.
유튜브의 장점은 실제로 사용하는 UI와 성능 등을 직접 보고 들을 수 있어 유튜브에서 검색을 추천합니다.
"유튜브(구글)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두 번째로 플러그인을 모아둔 사이트(링크)에서 키워드로 검색합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곳)
<플러그인 사이트 사진>
홈페이지 사용법
<해당 링크의 좌측 검색창>
첫 번째, 찾고자 하는 플러그인의 키워드를 입력 후 검색
두 번째, VMIX를 실행시키는 PC의 운영체재 선택
세 번째, 플러그인의 포맷 선택(VST3)
"영어로 검색하시고 영문의 키워드를 모를 때에는 한글을 번역기에 입력 후 복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예) '디노이저' > 번역기 > 'denoiser', '컴프레셔' > 번역기 > 'compressor'
무료 플러그인 찾기(미세 먼지 팁) " 링크의 좌측 하단의 가격이라는 카테고리가 있는데 Free 선택!"
3. 플러그인 설치
예제(TDR Nova - setup)<인스톨 실행 중 포맷 선택 화면>
플러그인 인스톨 파일로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보통은 위 화면처럼 포맷을 선택하는 창을 볼 수 있습니다.
글 위에서 소개했듯이 현재 64bit, VST3 포맷을 체크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다른 포맷을 설치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간혹 플러그인 인스톨 파일이 아니라 VST3 파일로 플러그인을 받은 경우는 플러그인이 설치되는 폴더에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경로 : C:\Program Files\Common Files\VST3 "플러그인이 설치되는 위치는 설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VST3 파일 예제><경로의 폴더 모습>
4. VMIX에서 플러그인 불러오기
플러그인 효과를 주고 싶은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세요!
'Plugins' > '+' > 'Driver' > 'OK' 순으로 사용하고 싶은 플러그인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삽입하고 설정값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인을 선택하고 'Show Editor'를 클릭하세요
원하는 값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미세먼지 팁 "아래 사진의 V체크는'Bypass' 기능입니다. on / off 해서 음향을 비교해보세요!"